• ALL
  • ISSUE
  • INSIGHT
  • E-PICK
  • SNACK
  • REPORT
  • A-DITOR
  • ALL
  • ISSUE
  • INSIGHT
  • E-PICK
  • SNACK
  • REPORT
  • A-DITOR
ISSUE

당신은 JOMO 인가요 FOMO 인가요?

2025.04.30

 

급속한 AI의 발전으로 글, 영상, 이미지 등 즐길 콘텐츠가 더욱 풍성해졌고, 이를 포스팅하기 위해 SNS의 이용도 활발해졌어요. 그로 인해 오늘 유행이 내일은 지고 있으며, 새로운 밈 역시 하루아침에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번지는 시대가 됐죠🌏

이처럼 유행의 신속한 변화는 가끔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데요😵‍💫 이때 여러분은 모든 유행을 따라가기에 지쳐 쫓아가길 포기하셨나요? 아니면 유행을 그날그날 모두 캐치하시는 편인가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JOMO와 FOMO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JOMO, 조모 뜻이 뭐예요?

 

먼저 JOMO란 ‘Joy of Missing Out’의 준말로 유행을 좇지 않고 경쟁적인 사회에서 무언가를 놓치더라도 그것을 온전히 즐긴다는 개념이에요😃 사실 JOMO는 2012년쯤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특히 테크 업계나 자기 계발 분야에 관련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먼저 퍼진 말이었어요. 이유는 FOMO 포모뜻을 다룰 때 함께 알려드릴게요!

이들의 특징은 그저 유행이라는 이유만으로 남들과 똑같이 맞추지 않고 자신의 가치관과 삶이 우선시되어 그에 따라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것인데요. 그래서 좀 더 여유로운 라이프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어요☘️

📚 JOMO가 시간을 보내는 방법

 

대표적인 행동 양식은 SNS 디톡스를 하며 독서와 운동 등 주로 혼자서 할 수 있는 취미활동으로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에요🏃‍♂️ 그리고 SNS 활동만으로도 쉽게 피로감을 느끼기 때문에 음주 문화 등 사람들과 떠들썩하게 함께하는 시간도 기피하는 성향이 강하죠🙅

JOMO는 자신의 취미나 활동에 몰입하며 개인적인 즐거움에 집중하고요, 사회적인 관계보다 자신에게 유익한 경험을 위해 자발적인 고립을 선택한 집단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 FOMO 포모뜻은 뭐냐면요

 

조모뜻과 반대되는 포모뜻은 소외되거나 유행에 뒤처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하는 개념이에요. 관련된 키워드로는 ‘불안’, ‘SNS 중독’, ‘흥분’ 등이 있죠🤩 이는 주식 시장에서 흔히 사용하던 말인데, 다른 투자자들이 큰 수익을 얻는 것을 보며 느끼는 감정을 대변하는 표현이었어요. 따라서 두 단어의 유래는 테크 업계에서부터 시작됐고, FOMO가 먼저 쓰인 뒤 그 반대 개념으로 JOMO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FOMO는 주식 시장 외에도 외식, 쇼핑, 공연 관람 등 다양한 소비 활동에 영향을 끼쳤어요🛍️ 실제로 작년 서울대 소비자학과의 한 연구에 따르면 ‘MZ세대의 67%가 SNS에서 본 제품이나 경험을 따라 해 본 경험이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어요. 특히 2030 여성들의 경우에는 인플루언서의 영향👱‍♀️이 전체 지출의 35%를 차지할 만큼 컸습니다.

💸 JOMO의 소비 습관은 어떨까?

 

반대로 조모를 대표하는 키워드는 ‘여유’, ‘아날로그’, ‘차분’ 등이 있어요. 이는 소비 습관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요😌 조모 라이프를 즐기고 있는 사람들은 주변 영향이 아닌 본인의 가치관에 따라 소비 여부를 결정해요. 본인이 필요하고, 갖고 싶은 물건을 충분히 알아본 후 후회 없는 소비를 선택하는 거죠🛒

아무래도 SNS에서 유행하는 물건은 ‘반짝’ 뜨는 제품일 경우가 많기에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것을 추구하는 듯해요!

🥰 JOMO와 FOMO의 소비 경험에 대한 만족도

 

소비라는 것 자체가 본인 만족을 위한 행위이기 때문에 어느 게 좋고, 어느 게 나쁘다라고 이야기할 순 없지만, 관련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지향해야 하는 소비 라이프는 분명했어요!

좀 전에 언급했던 서울대 소비자학과의 연구에서는 ‘SNS에서 본 제품이나 경험을 따라 해 본 적이 있다’는 사람들의 82%는 ‘실제로 소비에 만족하지 않았다’라는 답변을 했고요🤔 또 다른 연구인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SNS의 영향을 받은 소비는 대부분 ‘3개월 안에 만족도가 급격히 떨어졌다’고 조사됐거든요.

그와 반대로 자신의 가치관에 따른 소비는 1년 이상 높은 만족도를 유지했고요. 특히 환경, 윤리, 건강과 같은 개인의 신념과 연결된 소비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만족도가 오히려 증가했다고 조사됐어요🥰

따라서, 누구나 소비를 통한 즐거움을 얻을 순 있어도 만족감을 지속하는 건 다르다는 거죠. 유행을 따르고 즐기는 건 좋지만, 현명한 소비와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도 유지할 수 있는 소비가 장기적으로 좋을 듯싶습니다! 💡

✨ 자극적인 콘텐츠를 피해서~

 

인터넷의 발전으로 자극적인 사건·사고와 AI가 만든 기괴한 이미지 및 영상, 가짜 뉴스 등을 전 세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됐잖아요😵 그래서인지 SNS를 활발히 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활동을 중지하는 인원도 주변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어요❌

JOMO는 모든 것을 거부 한다기보단 모든 것을 해야 한다는 압박에서 조금 물러나 온전히 본인을 위한 자유로운 일상을 보낸다는 것에 더 가까운 개념이에요🆓 트렌드를 잘 좇는 것도 좋지만 스스로에게 집중할 수 있는 일상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designer
Designer | 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