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루다마케팅의 Pick을 받은 한 주간의 이슈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애즈 스위트 / 카톡 챗GPT / 구글 과징금 / 네이버 AI / e스포츠 마케팅 소식을 준비했어요. 어떤 내용인지 함께 살펴볼까요?👀
────────────
💡넷플릭스 ‘애즈 스위트’ 출시
넷플릭스가 지난 2일 자체 광고 플랫폼 ‘애즈 스위트’를 출시했어요.
2022년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한 뒤 12개국에서 신규 가입자의 절반이 선택했는데요, 애즈 스위트는 이 성과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플랫폼이에요.
넷플릭스가 이 성과와 더불어 강조한 건 바로 ‘주목도’ 인데요, 시청자가 얼마나 오래 화면에 머무르고 광고에 집중하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표예요. 단순 노출이 아니라 집중의 질을 중시하며, 이 지표를 광고 성과와 직접 연결해 광고주가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어요.
넷플릭스, 자체 광고 플랫폼 '애즈 스위트' 공식 출시
────────────
💡카카오톡에 ‘챗GPT’ 탑재
카카오톡에 곧 챗 GPT 기능이 탑재될 예정이에요.
카카오는 채팅 탭에 챗GPT 아이콘을 배치해 앱을 벗어나지 않고도 AI 질의를 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인데요. 기존 #검색 기능과 연동해 요약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에요.
이번 협업은 지난 2월 카카오와 오픈 AI가 체결한 전략적 제휴의 첫 성과이기도 해요. 카카오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톡 앱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AI 활용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도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UX를 개선하고 있어요. 세부 내용은 23일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공개될 예정이에요.
────────────
💡EU, 구글에 4조 8천억 원 과징금
EU가 구글의 광고시장 지배력 남용에 대해 대규모 과징금을 부과했어요.
집행위원회는 구글이 2014년부터 자사 애드 익스체인지(AdX)를 경쟁사보다 유리하게 운영해 반경쟁 행위를 이어왔다고 판단했는데요. 이번에 부과된 과징금은 29억 5천만 유로, 우리 돈으로 약 4조 8천 억원에 달해요. EU는 구글에 자사 서비스 우대를 중단하고 이해 상충을 해소할 수 있는 시정 방안을 60일 안에 보고하라고 했어요.
구글의 애드테크 시장 남용 조사는 2021년부터 이어져왔으며, 이번 처분은 2017년 이후 네 번째 과징금이에요.
────────────
💡네이버, AI 맞춤 기능 강화
네이버 블로그가 22주년을 맞아 AI 개인화 추천 기능을 강화한 새 홈 화면을 선보였어요.
이용자의 관심사, 활동 이력, 이웃 관계를 분석해 취향에 맞는 글을 추천하고, 활발히 소통하는 이웃의 글을 먼저 볼 수 있는 관계도순 정렬 기능도 추가됐죠. 이번 개편은 단순히 탐색 편의를 높이는 수준을 넘어, 블로그를 창작과 교류의 플랫폼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어요.
네이버 관계자는 “블로거들이 기록을 통해 새로운 관심사와 트렌드를 발견하고 영감을 얻으며 관계를 확장해 나갈 수 있는 ‘함께 하는 블로그’로 발전하겠다”고 전했어요.
22주년 맞은 네이버 블로그, AI 맞춤 추천 기능 강화
────────────
💡유통업계, e스포츠 마케팅 집중
유통 업계가 e스포츠를 새로운 마케팅 무대로 삼고 있어요.
오비맥주 카스는 3년째 LCK 파트너십을 이어가며 현장 부스 운영과 한정판 굿즈로 팬덤을 직접 겨냥하고 있죠. 팔도는 ‘왕뚜껑’을 프로게이머 페이커와 연결해 도전 메시지를 담은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고요. 패션·신발 업계도 참여했는데, 무신사는 젠지와 협업 유니폼을, 크록스는 팀과 팝업스토어를 열며 체험을 강화했어요.
업계 관계자는 e스포츠가 상품 매출 효과가 즉각적이고 성과 확인이 명확하다며 매력적인 채널이라고 말했는데요. 글로벌 시장 전망도 밝아 협업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 팬덤이 곧 소비력”…e스포츠 마케팅 집중하는 유통 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