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
  • ISSUE
  • INSIGHT
  • E-PICK
  • SNACK
  • REPORT
  • A-DITOR
  • ALL
  • ISSUE
  • INSIGHT
  • E-PICK
  • SNACK
  • REPORT
  • A-DITOR
E-Pick

7월 2주 차 E-Pick

2025.07.07

 

이루다마케팅의 Pick을 받은 한 주간의 이슈를 알아보는 시간! 오늘은 카카오 무료 이모티콘 / 하반기 광고 트렌드 / 중·일 커머스 진출 / 스마트스토어 AI / 외식업 트렌드 소식을 준비했어요. 어떤 내용인지 함께 살펴볼까요?👀

 

────────────

 

💡카카오, 무료 이모티콘 전략

카카오가 매주 월요일마다 정기 무료 이모티콘 이벤트를 시작했어요.

카카오톡 이용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받기’ 버튼을 눌러 이모티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요. 받은 이모티콘은 3일 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

이번 이벤트는 창작자에겐 홍보 기회를, 이용자에겐 새로운 대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는데요. 곽철이, 망그러진 햄터, 오니기리 등 인기 캐릭터는 물론, 실용적인 미니 이모티콘도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에요.

카카오는 앞으로 창작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이벤트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매주 월요일 이모티콘 쏟아진다"…카카오, 정기 무료 이모티콘 증정 이벤트

 

────────────

 

💡하반기 'OTT·AI 광고' 뜬다

KT나스미디어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OTT 광고 확대'와 'AI 기반 광고 자동화'예요.

OTT 광고 시장은 플랫폼 간 제휴, 경쟁력 있는 IP 확보, 광고 시청 시 무료로 제공하는 AVOD 방식 확대 등으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어요.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광고 솔루션도 빠르게 확산 중인데요. 네이버가 선보인 '애드부스트'처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들이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여요. 앱 내 추천 기반의 '발견형 콘텐츠 영역'도 강화될 전망이에요.

 

하반기 디지털 미디어 키워드 'OTT·AI 광고' 뜬다

 

────────────

 

💡중국·일본 커머스 저가 공세

중국과 일본 유통 브랜드들이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진입하며 유통업계 지형이 크게 흔들리고 있어요.

일본의 할인형 잡화점 돈키호테는 GS25와 함께 팝업스토어를 열고 첫 국내 판매를 시작했으며, 쓰리피와 로프트도 상표권 등록을 완료하며 진출을 예고했죠. 일본 브랜드들은 감각적인 디자인, 체험형 매장, 독특한 상품 구성으로 오프라인 유통에 도전장을 내민 모습이에요.

반면 중국의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초저가 마케팅과 빠른 배송, 로컬화 전략을 내세워 이커머스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 중이에요.

업계에서는 이러한 흐름을 ‘가성비 소비 확대에 따른 시장 재편’으로 분석하고 있어요. 고물가 시대, 합리적인 소비 패턴이 장기화될수록 이들 브랜드에 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에요.

 

알리·테무 이어 돈키호테 상륙…저가 공세 퍼붓는 中·日 커머스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AI 광고

네이버가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를 위한 AI 광고 지원 프로그램을 선보였어요.

‘성장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통해 지급된 포인트는 AI 광고 솔루션 ‘애드부스트 쇼핑’에 사용할 수 있고, 리뷰 적립금이나 재구매 유도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어요. 특히 광고 운영이 익숙하지 않은 판매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무료 체험 캠페인 ‘AI RIDE’도 함께 운영하고 있어요.

네이버는 AI 기술이 광고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흐름에 발맞춰, 판매자들이 실제 사업 과정에서 AI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고 있어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AI 광고 역량 강화 지원

 

────────────

 

💡배민 선정 외식업 3대 트렌드

배달의민족이 올여름 외식업 트렌드 키워드로 ‘타코 리믹스’, ‘모두의 한그릇’, ‘전국구 로컬’을 발표했어요.

불고기, 잡채 등 한식 재료를 더한 ‘한식 타코’가 건강하고 간편한 한 끼로 MZ세대에게 주목받고 있고요. 혼밥 확산과 함께 덮밥·국밥 같은 한 그릇 메뉴는 외식업의 기본 전략으로 자리 잡았죠. 또 지역 음식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로컬 콘텐츠화’ 흐름도 두드러지고 있어요.

우아한형제들은 이번 리포트를 외식업주 관점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다고 밝혔으며, 하반기에도 관련 트렌드 콘텐츠를 지속 선보일 예정이에요.

 

"혼밥·로컬·타코"…배민이 짚은 여름 외식업 3대 트렌드